본문 바로가기
화장품 원료(ingredient, ICID)

화장품 원료 탄화수소와 에스테르 오일

by 해머미 2022. 8. 1.
반응형

화장품 원료 탄화수소와 에스테르 오일에 대해서 기술한다.

 


목차

1.탄화수소 정의 및 종류

2. 에스텥르오일 정의 및 종류


 

 

 

1. 탄화수소

  • 탄소(C)와 수소(H)로만 이루어진 물질을 탄화수소라 하며 미네랄 오일, 페트롤라툼, 스쿠알렌(squalene), 스쿠알란(squalane), 폴리부텐(polybutene),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부텐(hydrogenated polybutene) 등이 탄화수소로 분류된다. 
  • 미네랄오일, 페트롤라툼, 스쿠알란은 화장품에서 오일로 사용되며, 미네랄 오일, 페트롤라툼은 피부에 바르면 폐색막을 형성한다. 합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폴리부텐류는 끈적거리는 사용감으로 립그로스 제형에서 부착력과 광택을 주는데 사용된다.
  • 피지의 성분인 스쿠알렌(C30H50)은 4개의 2중 결합을 가지고 있어 산패되기가 쉬워 이중결합(불포화)에 수소를 결합시켜 단이라결합(포화)으로 변경한 스쿠알란(C30H62)이 화장품에서 오일로 사용된다.

 

2. 에스테르 오일

  • 지방산과 고급알콜의 중화반응인 에스테르 반응에 의해서 만들어진 물질로 에스테르 결합(-COO-)을 가진 액상의 화장품 원료를 에스테르 오일이라 한다. 분자량이 크지 않아 사용감이 가볍고 유화도 잘되어 화장품에서 오일로 널리 사용된다.
  • 화학명명법에 따라 에스테르오일은 "-에이트(ate)"로 원료명이 끝나게 되며,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(isopropyl myristate, IPM),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(cetyl ethylhexanoate),  C12-15 알킬벤조에이트(C12-15 alkyl benzoate), 다이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(diisostearyl malate), 코코-카프릴레이트/카프레이트(coco-caprylate/caprate), 스테아릴카프릴레이트(stearyl caprylate), 세틸팔미테이트(cetyl palmitae), 다이아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(diisopropyl adipate)가 대표적인 에스테르 오일이다.

 

 

반응형

댓글